# '문재인 케어' 란?

2017년 8월 9일 문재인 정부에서 발표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을 말한다. 현재 우리나라 국민들의 의료비 부담은 높은편에 속한다.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가계직접의료비 부담 비율은 36.8%로 OECD국가들 중 멕시코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저소득층의 경우 중증질환에 걸리게 될 경우 의료비 부담으로 인해 빈곤층으로 전락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국민들의 의료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건강보험의 혜택을 넓히고자 하는 정책이 바로 '문재인 케어'이다.


문재인 케어의 Key Point
첫째, 비급여, 선택진료비, 원하지 않게 추가로 부담하였던 의료비 부담 축소.
둘째, 노인, 아동, 여성, 장애인 등 대상별 혜택을 더하고 가계부담능력 이상의 의료비 지출을 건강보험에서 부담.
셋째, 저소득층의 재난적의료비 지원을 확대.


문재인 케어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

◈ 모든 대상의 의료비 감소

1) 미용/성형, 건강검진 등을 제외한 모든 치료와 관계된 필수적인 비급여 항목들을 건강보험 적용.

 - 비용 대비 효과, 사회적 요구 등을 감안하여 비용의 10~70%수준을 건강보험에서 우선 적용.

 - 이 항목들을 3~5년 동안 주기적으로 건강보험 적용여부를 재평가하여 적정 수준으로 관리.


2) 선택진료비(특진비)와 상급병실비(1~3인실) 문제 해결

 - 선택진료의사, 선택지료비를 폐지.

 - 기존의 4인실까지만 건강보험 적용되는 병실비를 2~3인실까지 확대, 중증호흡기 질환자 등 필수적인 경우 1인실까지 가능.


3) 보호자 없는 병원,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확대.

 - 보호자나 간병인 없이 전문 간호인력으로 환자를 직접 돌보는 '간호간병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실을 2022년까지 10만 병상으로 확대.

 (2017년 7월 기준으로 353개 병원, 23,000 병상에서 시행중)


 대상별 특성에 맞춘 건강보험 혜택

1) 노인 의료비 부담 감소

 - 중증 치매환자 진료비 본인부담률(현재 20~60%) 10%로 인하.

 - 치매 진단에 필요한 정밀 신경인지검사, 영상검사 등에 건강보험 적용.

 - 65세 이상의 틀니와 치과 임플란트 본인부담률(현재 50%) 30%로 인하.


2) 어린이와 청소년의 진료비 부담 감소

 - 어린이 입원 진료비 본인부담률(현재 10%) 5%로 인하, 대상 연령(현내 6세 미만) 15세 이하로 확대.

 - 치아홈메우기 본인부담률(30~60%) 10%로 인하, 충치치료 건간보험 적용.


3) 저출산 극복, 난임부부와 여성 건강보호에 대한 정책 강화

 - 난임 시술(인공수정, 체외수정)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동일한 겅간보험 혜택 적용.

 - 기존 4대 중증질환자에게만 적용되는 부인과 초음파 검사의 건강보험 적용이 부인과 질환 진단/치료에 필요한 모든 범위까지 확대.


4) 장애인 건간보험 지원 확대.

 - 욕창예빵방석, 이동식리프트 등 장애인 보조기, 시각장애인용 보장구 등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범위 확대.


5) 저소득층 연간 의료비 본인부담 상한액 감소

 - 소득수준 하위 50%에 해당할 경우, 본인 부담 연간 진료비 상한액이 연소득 10% 수준으로 대폭 감소.

소득분위 

1분위 

2~3분위 

4~5분위 

6~7분위 

8분위 

9분위 

10분위 

 2017년

 122만원

153만원 

205만원 

256만원 

308만원 

411만원 

514만원 

 2018년(개선)

80만원 

100만원 

150만원 

 현행유지


◈ 의료비 긴급 위기 상황 지원 강화

1) 소득 대비 과도한 의료비, 재난적 의료비 지원 확대

 - 4대 중즞질환자에게만 제한적으로 지원되던 '재난적 의료비 지원'대상을 소득하위 50%까지 모든 질환으로 확대.

 - 입원의료비 및 고액 외래의료비(항암, 희귀난치질환 등)를 소득분위에 따라 최대 2천만원까지 지원.

  * 지원항목: 예비급여, 선별급여, 전액본인부담, 비급여

  * 제외항목: 미용/성형, 예방 목적 비급여, 특실료, 임플란트 등


2) 의료비 지원 사각지대 철폐

 - 긴급복지 지원 등 다양한 의료비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공공/대형 병원에 사회복지팀을 설치하고, 퇴원 시 지역사회의 복지 체계와 연계하여 지원.